[스크랩] 울릉도 공도정책은 ‘방치’가 아니라 ‘수토정책’이었다 ▲ 512년 우산국을 정벌한 신라 장군 이사부 영정과 삼척 오분항에 있는 이사부 출항 기념비.photo 조선일보 DB 일본은 독도가 일본의 고유영토라고 주장한다. 일본의 고유영토론은 ‘역사적으로 볼 때 한국은 독도의 존재를 몰랐고 설사 알았더라도 이를 이용하지 않았다. 오히려 일본이 일.. 역사이야기/기타정치역사 2014.09.22
[스크랩] 에도시대 일본인들의 울릉도-독도 인식 에도시대 일본인들에게 독도는 울릉도로 가기 위한 이정표 정도의 가치를 넘지 않는 것이었으며, 중요한 것은 울릉도였다. 에도시대 조일간 외교분쟁(안용복 사건)이 일어난 것도 일본의 울릉도 점유 욕망에서 비롯된 것이었다. 이 시기 일본인들에게 독도는 울릉도에 딸린 자그마한 바.. 역사이야기/기타정치역사 2013.04.03